SPECIAL
카즈마입니다.
아래 글 중, 명품시계 거품인가? 글을 보다 보니, 럭셔리의 정의에 대해 기록해 두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럭셔리는 '사회계층화'입니다.
계급적 사회가 민주적 사회로 변환됨에 따라, 서열에 익숙한 인간들이 다시 계층화에 대한 욕구를
갈망하게 되는데, 이것이 럭셔리로 표출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급 브랜드 옷에 박혀 있는 [브랜드 표식 = 훈장 혹은 계급]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 사람들이 럭셔리에 더욱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오랜 기간 동안 양반-쌍놈의 계급화를 거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가장 큰 럭셔리 시장은 중국과 인도가 됩니다.
럭셔리는 본능입니다.
럭셔리를 이성적 판단기준과 합리성으로 이해하려 들면 럭셔리를 즐길 수 없게 됩니다.
본능이라 함은, 이성에 앞서 '탐닉적'이기에 소유하고 싶은 생각이 강하게 도출되는 것이고,
럭셔리의 소유는 인간의 중추 변연계에 위치한 VTA 영역에서 도파민을 분출하는 실제적 반응입니다.
이것은 운동선수가 골을 넣었을 때, 또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을 보았을 때와 동일한 반응입니다.
럭셔리를 즐기기 위해선 교육이 필요합니다.
럭셔리는 예술과 마찬가지로, 즐기기 위해선 교육이 필요합니다.
'된장남' '된장녀' 이러한 분류는 아마도 교육 없이 과시로만 구매하는 사람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럭셔리는 가격으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럭셔리의 기준은 가격이 아닙니다. 그리고 럭셔리보다 훨씬 비싼 프리미엄도 많습니다.
그러나 프리미엄은 럭셔리가 될 수 없습니다. 럭셔리는 숭배되는 우상과, 전통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브레게, 롤렉스, 까르티에, 블랑팡, 오데마피게 등은 True Luxury라고 보이며,
우블로 등은 프리미엄 브랜드일 뿐입니다.
** 애플은 IT 제품을 생산하지만, 럭셔리입니다.
럭셔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을 올려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 내려가면 럭셔리가 아닙니다.
럭셔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을 인상해야 하며, 가격인상으로 인해 매출이 급감한다면,
그것은 이미 럭셔리가 아닙니다. 이런 의미에서 롤렉스 서브마리너 모델은 진정한 럭셔리입니다.
럭셔리는 영구적인 가치를 전달해야 합니다.
럭셔리는 한 세대가 사용하고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대를 이어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루이비통 여행가방의 경우 200년 보증제도가 있고, 뛰어난 시계는 관리만 해 준다면,
몇대에 걸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와 럭셔리
자동차는 시계, 의상, 주택과 더불어 대표적 럭셔리의 예제입니다.
럭셔리는 인간 무의식에 반응해야 하는데,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자동차는 2가지 코드가 있습니다.
영국의 황실마차를 상징하는 롤스로이스와 순종 종마를 상징하는 포르쉐/페라리죠.
럭셔리 코드의 채용 시 주의점.
최근 럭셔리 브랜드 향상을 위해서,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 프라다를 내 놓기도 했으나,
제가 볼 땐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프라다는 어떻게 봐도 자동차와 어울리지 않습니다.
가장 좋은건 말 안장 장인이었던 에르메스의 코드를 빌려오는 것입니다.
이정도면, 럭셔리의 기본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참고서적 :
The Luxury Strategy: Break the Rules of Marketing to Build Luxury Brands
http://www.amazon.com/Luxury-Strategy-Break-Marketing-Brands/dp/0749454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