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토 피니시모
이번 리뷰에서는 올해 발표된 가장 핫한 울트라 씬 시계 중 하나로 손꼽히는 불가리(Bulgari)의 옥토 피니시모(Octo Finissimo)를 다루고자 합니다.
타임온리 울트라 씬 수동 시계 리뷰만 올해 들어 벌써 세 번째인데요.
울트라 씬의 전통적인 강자들인 예거 르쿨트르와 피아제에 이어 다크호스로 급부상한 불가리까지 살펴봄으로써
여러분들은 저와 함께 현 울트라 씬 시계의 주요 트렌드를 한데 아우를 수 있게 된 셈입니다.
올해로 창립 130주년을 맞은 불가리가 울트라 씬이라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든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수순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여러분들도 잘 아시다시피 제랄드 젠타와 다니엘 로스를 인수한 이후 불가리는 그간 이들 브랜드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다채로운 하이 컴플리케이션 시계들을 연달아 발표하며 시계 업계에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복잡한 기능의 시계들로 이런저런 실험을 했으니 이제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심플한 시계들에 주목할 차례가 된 것이지요(이러한 시계들이 또 세일즈와 직결되므로).
젠타의 유작인 옥토(Octo)를 세련되게 다듬어 재런칭한 것도, 그리고 지난 2년여 간 옥토 라인의 볼륨을 집중적으로 키운 것도 다 불가리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012년 출시된 첫 옥토 오토매틱 시계.
시, 분, 초, 날짜만 표시하는 옥토 오토매틱 모델이 워낙에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지만,
불가리로서는 옥토야말로 21세기를 대표할 브랜드의 새 시그너처 컬렉션이 될 운명임을 본능적으로 간파하고 있었습니다.
라틴어로 8을 뜻하는 옥토는 故 제랄드 젠타(1931~2011)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거장인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한 건축 스케치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것으로,
그 이름처럼 팔각형태를 차용한 케이스로 제작되었지요. 젠타에게 팔각형은 그의 대표작인 로열 오크나 노틸러스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각별한 애착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팔각형 베젤을 스크류로 고정시켜 다이빙 헬멧을 연상시키는 오데마 피게의 로열 오크에 비해 불가리의 옥토는 훨씬 얌전한 축에 속했지요.
케이스를 세로로 좀더 길쭉한 팔각형태로 제작하고 그 위에 원형의 베젤을 추가한 다음 다이얼 안쪽 가장자리를 다시 한번 팔각형태로 마무리함으로써
보다 대중적이면서 입체적인 매력으로 어필할 수 있는 시계를 완성한 것입니다.
- 옥토 컬렉션 관련 공식 홍보 영상.
그럼에도 젠타의 컬렉션에 속해 있을 당시의 옥토는 아직 완전히 다듬어지지 않은 보석과 같았습니다.
불가리는 젠타의 원형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세부적으로 더욱 정교하게 다듬는 과정에 들어가지요.
일례로 옥토는 총 110개의 면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시계 케이스에서 면의 수가 많다는 건 그만큼 제작 공정이 까다롭다는 뜻인데요.
불가리는 옥토를 재단장하는 과정에서 유독 케이스 가공에 온갖 노력을 쏟아 붙습니다.
옥토의 제작과정에는 또한 불가리가 2005년에 인수한 최상급 다이얼 공방인 카드랑 디자인과
2007년에 인수한 고급 케이스 전문 제조사인 핑거의 오랜 노하우에 힘입은 바가 크지요.
옥토의 등장과 성장 과정은 단순히 한 컬렉션의 확장에서만 그치는 차원이 아니라,
고급 시계제조 분야에 기울이는 불가리의 꾸준한 열정과 야망이 투영된 장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합니다.
- 2014년 신모델 옥토 솔로템포(Octo Solotempo).
올해는 옥토 오토매틱 모델에서 사이즈를 기존 41mm에서 38mm로 줄이고, 보셰 에보슈가 아닌 인하우스 무브먼트로 교체하고
가격대 역시 오히려 낮춰서 출시한 것만 보더라도 불가리가 옥토 라인에서 기대하는 바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어디 그뿐인가요?
같은 LVMH 그룹 내 매뉴팩처 제니스의 유니크한 하이비트 크로노그래프 칼리버를 탑재한 옥토 벨로치시모(Octo Velocissimo)를 라인업에 추가한 것하며,
옥토 피니시모(Octo Finissimo)와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Octo Finissimo Tourbillon)으로 불가리로서는 금단의 영역처럼 보였던 울트라 씬까지 도전함으로써
옥토가 불가리에겐 얼마나 중요하고 또한 상징적인 컬렉션인지를 만천하에 재삼 강조한 셈입니다. 하지만 옥토의 진화는 여기서 끝이 아닐 겁니다.
이미 여러분들께서도 어느 정도 충분히 예상하고 계시겠지만, 옥토는 향후 몇 년간 계속 그 베리에이션이 확대될 게 분명하며,
기존의 아이코닉한 컬렉션인 불가리-불가리와 함께 더욱 화려하게 만개할 것입니다.
-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사진 좌)과 옥토 피니시모(사진 우).
그러면 이제 오늘 리뷰의 주인공인 옥토 피니시모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시계의 하이라이트 격인 무브먼트에 관한 설명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피니시모란 이탈리아어로 '최상'을 뜻하는데 그 수식에 걸맞게 옥토 피니시모와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
두 모델의 면면을 들여다 보면 전체적인 가공 상태와 완성도면에서 상당한 수준을 느끼게 합니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두 시계는 케이스 두께가 5mm로 같은데요. 스몰 세컨즈 형태의 옥토 피니시모야 그렇다 치더라도,
캐리지를 포함한 투르비용 구조 특성상 두께가 증가할 수 밖에 없음에도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에 사용된 무브먼트는
그 두께가 고작 1.95m에 불과합니다. 이는 옥토 피니시모의 그것(2.23mm) 보다 오히려 얇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지요.
이렇다 보니 예상하셨겠지만,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은 등장과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얇은 투르비용 시계라는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었지요.
-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 칼리버 분해도.
시와 분만 표시하는 가장 베이직한 칼리버로도 마의 2mm 두께 안에 들기가 힘든데,
투르비용 칼리버로 이 수치를 넘어섰다는 것은 분명 칭찬 받아야만 할 대목입니다.
게다가 외주 제작이 아닌 설계서부터 제조, 조립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불가리의 매뉴팩처 안에서 달성했다는 것 또한
세계적인 주얼러로서의 불가리가 아닌 진지한 워치메이커로서의 불가리의 역사에 한 전기점이 될만한 성취라 하겠습니다.
앞서 저는 울트라 씬 라인인 옥토 피니시모의 출현을 정해진 수순이었다는 표현을 썼는데요.
곰곰이 다시 생각을 해보면, 이 모든 게 그저 흘러갔다는 식의 도출은 설득력이 한참 부족해 보입니다.
그래서 좀더 들여다 보니 저는 최근의 위블로(Hublot)의 행보에서 불가리를 자극한 어떤 실마리를 발견하게 됩니다.
두 브랜드는 같은 LVMH 산하이고 고급 지향이면서도 매출 실적까지 높은 브랜드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장인 장-끌로드 비버(Jean-Claude Biver)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고요.
- 위블로 클래식 퓨전 클라시코 울트라 씬 45mm 킹 골드 모델.
위블로가 작년에 선보인 클래식 퓨전 클라시코 울트라-씬(Classic Fusion Classico Ultra-Thin) 45mm 모델들만 보더라도 이들의 뜻밖의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새로 개발한 인하우스 수동 HUB 1300 칼리버는 그 두께가 2.9mm로 모델명에 걸맞게 제법 얇은 편입니다.
빅뱅 시리즈 같은 볼드한 오버사이즈 시계로 대표되는 이들이 갑자기 울트라 씬 계열에 도전하게 된 배경은
얇은 시계를 고급시계의 미덕으로 여겨왔던 이전 세대의 가치관(?)이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하이엔드 스포츠 워치를 지향하는 위블로로서는 얇지만 너무 드레시하지 않고
일상생활 속에서 편하게 착용하기 좋은 시계를 찾는 부유층 고객들의 요구를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을 테지요.
그리고 그 결과물은 우려했던 것보다 훨씬 아름답고 우아하면서도 위블로만의 아이덴티티 또한 잃지 않고 있었습니다.
위블로를 통해 새로운 울트라 씬 개발에 시쳇말로 한창 꽂힌 장-끌로드 비버가 고로 불가리 워치 개발팀에도 영향력을 행사했을 확률 역시 배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옥토 피니시모에 탑재된 BVL 128 칼리버.
특히 불가리가 새로 개발한 BVL 128 칼리버는 그 직경부터 남다릅니다.
두께 3mm 미만의 고급 울트라 씬 칼리버들은 대체로 9 리뉴대(9 lignes, 대략 20mm 초반대)가 많은데요.
대표적으로, 바쉐론 콘스탄틴의 1003 칼리버(JLC 베이스 두께 1.64mm), 프레드릭 피게(현 블랑팡)의 21 칼리버(두께 1.73mm)와
예거 르쿨트르의 849 칼리버(두께 1.85mm), 피아제의 430P(두께 2.1mm), 파텍 필립의 215 칼리버(두께 2.55mm)만 봐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옥토 피니시모에 탑재된 두께 2.23mm의 BVL 128 칼리버는 직경이 무려 16.5 리뉴(약 36.6mm)에 달합니다.
이 칼리버 크기가 감이 안 오시는 분들은 쉽게 생각해, 유니타스/ETA의 6497과 6498 수동 칼리버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이는 앞서 예로 든 위블로의 HUB 1300보다 큰 사이즈이며, 무브먼트에 별도의 파워리저브 인디케이터까지 갖고 있음에도 두께는 더 얇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함께 공개된 옥토 피니시모 투르비용 칼리버 역시 직경이 14.5 리뉴(약 32.6mm)인 것을 감안할 때도
옥토 피니시모의 대범한 칼리버 직경과 수동 임에도 진동수 4 헤르츠(28,800 Vph)에 70시간의 파워리저브를 구현한다는 점 또한
BVL 128 칼리버의 설계가 상당히 모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동 타임온리 무브먼트의 직경은 작야야 한다? 라는 업계의 암묵적인 결탁을 깨고
오히려 과거 포켓 워치 무브먼트를 연상시키는 시원시원한 사이즈에 최근의 파네라이, 예거 르쿨트르에서 엿볼 수 있는
롱 파워리저브 설계를 더함으로써 또 하나의 이색적인 울트라 씬 수동 베이스 칼리버가 탄생한 것입니다.
앞서 열거한 9 리뉴대 칼리버들이 길게는 30~40여 년 전에 제작됐다는 점을 떠올릴 때,
2000년대 들어서 그렇게 기계식 시계 붐이 일고 했어도 새로 개발된 신형 울트라 씬 수동 칼리버 종류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으니,
불가리의 울트라 씬 도전은 비단 불가리만의 성취가 아니라 여타 울트라 씬 명가들에게도 자극이 될만한 성취가 아닌가 싶습니다.
- 피아제의 838P 칼리버.
물론 피아제 역시 2000년대 초중반 기존 9 리뉴대의 430P를 벗어나 12 리뉴(26.8mm)인 830P를 발표했었지요.
파워리저브도 60시간 정도로 크게 증가했고요. 이후 10시 방향에 스몰 세컨즈를 더한 838P 버전이 이어졌으며,
이러한 시계들은 케이스 지름 40mm 정도의 과거의 드레스 사이즈보다는 다소 큰 사이즈의 시계에 사용되었습니다.
- 오피치네 파네라이의 P.999 칼리버.
그리고 울트라 씬으로 보긴 힘들지만, 뜻밖에도 오피치네 파네라이 역시 2000년대 후반 직경 12 리뉴(27.4mm)의 타임온리 수동 P.999 칼리버를 공개했습니다.
두께 3.4mm로 무브먼트나 시계 두께를 줄이는 일에는 관심조차 없어 보이던 파네라이 임에도 P.999를 제작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시계를 선보일 수 있었지요.
나아가 굳이 울트라 씬에 한정하지만 않는다면, 파네라이야 말로 어쩌면 가장 특색있는 모던 수동 칼리버를 개발, 제작하는 업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몇 해 전 발표한 자사 수동 P.3000(직경 16.5 리뉴, 두께 5.3mm)와 올해 추가한 P. 5000(직경 15¾ 리뉴, 두께 4.5mm) 칼리버만 보더라도
브랜드와 컬렉션의 개성을 잘 서포트 해주는 아주 현대적인 신형 타임온리 수동 칼리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아제야 뭐 오래 전부터 울트라 씬의 명가였고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이즈에 대한 고심을 반영해 830P 같은 베리에이션을 추가한 것일 테고,
파네라이는 유니타스 칼리버를 대체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자 동시에 큼지막한 수동 베이스 칼리버가 자사 컬렉션의 군용 아이덴티티와도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인하우스 수동 개발에 박차를 가한 것이라면, 위블로나 불가리는 다분히 울트라 씬의 유행을 의식해서 제작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미묘하지만 큰 차이가 있습니다.
- 랑에 운트 죄네의 L093.1 칼리버.
그 밖에도 하이엔드급 신형 베이스 수동 중에서는 랑에 운트 죄네의 L093.1 칼리버를 또한 빼놓을 수 없지요.
직경 28mm의 드레스 워치용 타임온리 수동으로는 비교적 큰 사이즈에 두께 또한 2.9mm로 어느 수준의 얇음을 실현했습니다.
지난 2012년 발표한 삭소니아 씬에 탑재되는 이 베이스 칼리버는 독일식의 절제된 설계 안에서도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현대 하이엔드 타임온리 수동 칼리버의 한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랑에의 예만 보더라도 이제 파텍 필립이나 오데마 피게에서도 9 리뉴대를 벗어나 좀 더 현대적인 케이스 사이즈에 부합할 만한
12 리뉴 정도되는 크기에 이왕이면 얇은 수동 베이스 칼리버를 제작해야 할 때가 왔다고 봅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볼 때 불가리의 BVL 128는 타임온리 수동을 선호하는 마니아들에게 뜻밖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칼리버가 아닐까 싶습니다.
시원시원한 크기에 비해 얇은 두께, 현대적인 설계가 돋보이는 BVL 128 칼리버는 또한, 흔히 볼 수 있는 라운드나 스퀘어, 토노 형태의 케이스가 아닌
옥토 특유의 독창적인 케이스에 탑재됨으로써 이러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색다른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브먼트의 피니싱 수준 또한 인상적입니다.
네 개의 브릿지로 분할된 상단 플레이트는 코트 드 제네브(Côtes de Genève) 패턴과 함께 각 모서리는 베벨링(앵글라주) 처리되었습니다.
그 각은 얕지만 충분한 수작업의 흔적을 느낄 수 있으며, 면을 미러 폴리싱 마무리함으로써 투박해 보이는 첫인상과 달리 섬세한 면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 고정 스크류 헤드는 폴리시드 처리되었으며, 밸런스를 지탱하는 밸런스 브릿지 부분 역시 앵글라주 처리와 함께 하단에는 페를라주 패턴도 볼 수 있습니다.










리뷰 협조:
불가리 코리아
촬영 협조:
2nd Round Studio.
실시간 정보 및 뉴스 공지는 타임포럼 SNS를 통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타임포럼 페이스북 -->
페이스북과 연동된 타임포럼 트위터 --> https://twitter.com/timeforum_kr
타임포럼 네이버 --> http://cafe.naver.com/timeforumnaver
Copyright ⓒ 2014 by TIMEFORUM All Rights Reserved
이 게시물은 타임포럼이 자체 제작한 것으로 모든 저작권은 타임포럼에 있습니다.
허가 없이 사진과 원고의 무단복제나 도용은 저작권법(97조5항)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시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임포럼 뉴스 게시판 바로 가기
인스타그램 바로 가기
유튜브 바로 가기
페이스북 바로 가기
네이버 카페 바로 가기
Copyright ⓒ 2024 by TIMEFORUM All Rights Reserved.
게시물 저작권은 타임포럼에 있습니다. 허가 없이 사진과 원고를 복제 또는 도용할 경우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165
-
coolman
2014.09.24 04:58
이건 반드시 사야되.. 하면서 리뷰를 보다가
플래티늄에서 좌절합니다.
멋진 리뷰 감사합니다 -
골드 옥토 모델을 보고 심쿵! 하고
옥포 피니시모 모델을 보며 점점 완성도가 올라가는 느낌을 받습니다.
특히나 뒷면의 무브먼트와 두께는 골드의 디자인적 아름다움을 상쇄하네요 (골드 뒷면은 좀 안이쁘더라구요)
게다가
드레시해보이지만 착용하면 스포티해보이는게 AP RO같기도하네요 :)
-
옥토 한번 경험해보고 싶네요
-
옥토 신제품 정말 관심이 갑니다. 기회가 된다면 정말 하나 사고 싶을정도로 매력적입니다.
-
산초바바라
2014.09.24 07:18
디자인이 정말 멋지네요! -
안반
2014.09.24 07:32
꽉찬 무브가 예뻐보이네요~~
-
거의사각에가까워확실히커보이는것같습니다. 38mm출시기원합니다...^^
-
ㅎㅎ 옥토가 이쁘긴 하죠~^^
-
내돈오백원
2014.09.24 08:17
시계가 참 이쁘네요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
좋은 리뷰 잘 봤습니다.
-
Bzbz
2014.09.24 08:33
진짜 많이 얇아 보입니다.
무브도 엄청 크네요.
-
Zenith
2017.01.04 06:37
불가리 특유의 기술력이..
-
육교하늘
2014.09.24 08:38
역시 무브먼트가 뒷 케이스에 꽉 찬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하지만, PT 뿐이라니...
저같은 서민의 관심이 아예 생기질 않도록 하는 불가리의 마케팅이 맘에 듭니다.
리뷰 잘 보았습니다.
-
마지막 착샷이 멋지네요.
-
hj1993
2014.09.24 08:55
역시나 스틸이 아니라는것에 함정이 있군요.
무브먼트가 상당히 아름답습니다~ -
핀트
2014.09.24 09:19
역시 불가리 시계는 디자인이 예술이네요.
-
불가리에 이어서 위블로까지 울트라씬 경쟁에 뛰어드는걸 보면 울트라씬이 대세이긴 한가봅니다.
하긴 시계 내적인 혁신이 이제는 보기 드물고 식상한 시계 소재 다양화 보다는 울트라씬 경쟁이 시계 회사도 새로운 마켓이 생겨서 좋고
선택지가 늘어나는 고객에게도 좋겠지요.
현대의 시계사이즈가 과거에 비해서 커지니 울트라씬 무브의 개발에도 확실히 유리하겠지요.
사실 기존 울트라씬 무브는 정말 작은데 케이스만 커지는게 불만이였는데 ..
가령 예거의 울트라씬도 적정이 34정도지 신형 그랑푸39미리 같은건 너무 시계사이즈가 크더라구요.
아무튼 저 같은 울트라씬 잠재고객에게는 이러한 시계회사의 행보가 너무 반갑습니다.
다만 여전히 울트라씬은 최상급(?) 정장 시계인 탓에 귀금속으로만 나오는건 아쉽네요.
무브 수급이 일반무브보다 어렵다라도 어서 인기몰이를 해서 스틸케이스로도 맛보고 싶네요.ㅎㅎ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
과거 울트라씬 무브먼트들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온것은 암묵적인 결탁이라기보다는 legacy problem 이라고 보는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과거의 울트라씬 무브들은 직경이 작은 시계에 들어가던 작은 무브들이었고, 그것을 완전히 새로 만들기보다 개량하는 선택을 한 것으로요.
현대시계에 더 맞게 큼직한 울트라씬 무브먼트들의 등장은 크게 반길만한 일입니다. 이렇게 직경이 큰 무브먼트를 사용하면, 배럴의 사이즈도 증가해서 파워리저브에도 부가적인 영향이 있을것이고, 여러 부품들을 조금 더 두껍고 겹치지 않게 만들어 내구성 측면에서 더 좋을 수도 있다는 기대를 하게 해보네요. 이번 불가리 무브먼트는 무브먼트 브릿지 디자인이나 파워리저브 채용등이나 모두 세련되게 들어가있어서 보는 맛이 더 있네요. 다만, 40mm 케이스에 넣기에는 살짝 밸런스가 맞지 않을정도로 큰것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젠타의 디자인에 새롭게 들어간 무브먼트로 하이엔드 스포츠워치에 다가오는 새로운 시계가 있다는 것은 반길만한 일입니다. 좋은 리뷰 잘 봤습니다!
-
혜안으로
2014.09.24 09:48
누군가가 불가리 시계를 과소평가하고는 했는데 이젠 인정하겠군요 -
정말 대단한 기술력에 디자인까지 인정받고.. 불가리시계 우습게 보면 안되겠군요 ㅎㅎ
-
슬림하면서 깔끔한게 품위도 있어보이고 드레스워치로 제격이군요.
리뷰 잘 봤습니다.
-
cmfkim
2014.09.24 10:35
무브먼트가 깔끔하고 예쁩니다. 실물을 보고 싶네요~
-
TimeRomance
2014.09.24 10:55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불가리에 대한 인식이 워치메이커로 점차 변화하네요. 잘 봤습니다^^ -
이쁘네요~~ 옥토 금장 끌립니다
-
갠적으로 불가리BB 사용하면서 다소 아쉬운 면도 없지 않았었는데...무브가 바뀐다면야..이야기가 달라지겠죠^^
예전부터 불가리는 케이스나 디자인 등등 마감이야 가격대비 하이엔드 급입니다.^^
(아쉬운 건 무브였다는...)
-
agent10
2014.09.24 11:31
꽉 차보이네요..플래티늄이라 아쉽..
-
먼가... 얇으면서도 강해보이는 느낌이... 보기 좋은 모델이네요...+_+
오늘은 여기저기서 눈이 호강하네요..+_+ 리뷰 감사합니다.
-
dipsomaniac
2014.09.24 12:36
울씬에 그닥 관심이 없지만서도.... 정말 멋지네요. 잘보았습니다 -
Zenith
2017.01.04 06:38
울씬은 차보시면 확실히 다른 듯...ㄷㄷ
-
스틸인줄 알았는데 플레티넘에서 좌절했습니다...불가리도 점점 대단해지는군요..
-
훈바리
2014.09.24 13:16
제랄드 젠타인가요? 불가리가 기술력도 보유하게 되었네요. 좋은 시너지인거 같습니다.
-
흐아민구
2014.09.24 15:12
3~40 사무직이 차기엔 소재가 너무 고급스럽지 않은가요? ㅎㅎ;;;;
-
마발발
2014.09.24 15:40
옥토... 얼마전에 매장에 가서 한번 손목에 올려봤는데요... 사진으로 보는것보다 실물이... 실물보다 손목에 올려놓은것이 휠씬 이쁘더군요 ^^
-
옥토 디자인이 울트라씬에서 빛을 발하네요. 기대되는 행보입니다.
-
남투더
2014.09.24 15:43
드디어 드디어!!ㅎㅎ 리뷰 잘봤습니다..!!
-
Pano
2014.09.24 15:50
제럴드 젠타의 팔각 디자인 정말 매력적입니다
-
리뷰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씨마스텈
2014.09.24 16:38
어느순간부터 불가리하면 옥토라는 인식이 빨리 생기게 만들어주는 인상적인 모델입니다.
-
용요용요용
2014.09.24 16:44
잘보고갑니다~
-
눈이 즐겁네요ㅎ 잘 보았습니다 ㅎ
-
hlk
2014.09.24 16:51
매력적이네요. 특히 뒷백이 마음에 듭니다. 파워리접도... 드레스 와치로 하기엔 러그가 좀 큰거 같네요...
-
손목왕
2014.09.24 18:07
불가리의 도약이 눈에 띕니다 ㅎㅎ 다만 스틸모델만 있었다면..ㅠㅠ
-
로제마이어
2014.09.24 18:07
리뷰 잘 보고 갑니다.
-
스틸로...조금만 작게...해주세요...
-
만두기리
2014.09.24 19:43
매장가서 직접 손목에 걸쳐 봤는데 이쁘더라구요 ^^
-
zerotaker
2014.09.24 20:04
팔각형이 아름다워 보이네요. -
빈티지맨
2014.09.24 20:06
좋은 리뷰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담넘다쿵해쪄
2014.09.25 02:26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뭔가 초콜릿이 생각나네요..
-
labelle
2014.09.25 04:37
아... 스틸 아쉽네요.. 나오겠죠
- 전체
- A.Lange & Sohne
- Audemars Piguet
- Ball
- Baume & Mercier
- Bell & Ross
- Blancpain
- Breguet
- Breitling
- Buben Zorweg
- Bulgari
- Cartier
- Casio
- Chanel
- Chopard
- Chronoswiss
- Citizen
- Corum
- Frederique Constant
- Girard Perregaux
- Glycine
- Hamilton
- Harry Winston
- Hermes
- Hublot
- IWC
- Jaeger LeCoultre
- Junghans
- Longines
- Luminox
- Maurice Lacroix
- Mido
- Montblanc
- Omega
- Oris
- Panerai
- Parmigiani
- Patek Philippe
- Piaget
- Rado
- Richard Mille
- Roger Dubuis
- Rolex
- Seiko
- Sinn
- Stowa
- Suunto
- Swatch
- TAG Heuer
- Timeforum
- Tissot
- Ulysse Nardin
- Vacheron Constantin
- Van Cleef & Arpels
- Zenith
- Etc
-
마에스트로 오토매틱 문페이즈 ፡ 158
2014.10.09 -
멀티포트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60 ፡ 138
2014.09.19 -
로열 오크 투르비용 컨셉트 GMT Ref.26580 ፡ 169
2014.09.14 -
클립튼 레트로그레이드 데이트 ፡ 162
2014.09.06 -
아큐 스위스 Type A-15 ፡ 150
2014.08.30 -
그랑프리 모나코 히스토리 크로노(G.P.M.H. Chrono) ፡ 138
2014.08.24 -
르 로클 리저브 드 마르셰 ፡ 240
2014.08.19 -
루미노르 마리나 8 days PAM00510 ፡ 310
2014.08.14
매력넘치는 옥토 리뷰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