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l. 8500 개발로 본 오메가의 미래에 대한 생각들....
자세한 스펙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올해 1월 24일 발표된 Omega의 신형 자사 자동 무브먼트 Caliber 8500 의 발표로 인해
향후 몇 년간 중상급 브랜드들에 상당한 변화가 생겨날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2001년 자동크로노그래프 Caliber 3303의 발표 때, 어째서 보다 보편적인 자동 무브먼트는 개발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을 느꼈었습니다만, 아마도 그 때 이미 자동 무브먼트를 개발중이었던 모양입니다.
신형 자동 무브먼트 Caliber 8500 을 사용하는 드빌 가죽줄 S 모델의 가격이 약 US$ 5200,
브라슬렛 모델이 US$ 6000, Caliber 8501을 사용하는 18K 모델이 US$ 12,000,
18K 브라슬렛 모델의 리테일가가 약 US$ 20,000 정도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첫 제품이므로 다소 높게 가격이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예전 코엑시얼을 처음 채용한 Omega Caliber 2500 (ETA 2892 베이스)도 매우 높은 가격이 책정되어
발표되었다가, 보급품으로 씨마스터 등에 적용되면서 저렴해졌던 기억이 새롭네요....
몇 년 후 씨마스터 등에 적용되어 SS 모델로 발매될 경우 브라슬렛 모델의 리테일가로 4000~4500 달러 정도가
책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신형 자사 무브먼트의 타겟은 역시 Rolex 로 보입니다....
1. Omega vs Rolex
Rolex 역시 남성용 모델들만 따진다면, 자동 무브먼트 Caliber 3135와 크로노그래프 무브먼트 Caliber 4130을
기본 무브먼트로 사용하고 있으며, Omega Caliber 8500의 개발로 이제 Omega도 무브먼트 때문에
Rolex에게 조금도 꿀릴 것이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더블배럴의 채용 등 Omega 신형 자사 무브먼트의 스펙은 Rolex를 앞서가는 수준입니다.
고급형인 Caliber 8501과는 일부 스펙(밸런스 등)에서 차이가 나겠지만, 롤렉스의 장점으로 거론되는
파워리저브, 와인딩 효율 등을 염두에 두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브먼트도 스포츠 모델들을 염두에 둔 12 리뉴에 4~6 mm급의 무브먼트가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물론, Omega가 Rolex에 비해 많이 밀리는 듯한 프레스티지함이 문제로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즉, 제품의 품질 못지 않게 브랜드의 이미지를 상승시키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들이 시도될 것으로 보입니다.
2. IWC, Ulysse Nardin, Girard Perregaux, Panerai, Breitling, TAG Heuer
그러나, 진짜 심각해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소비자층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Rolex 보다는
IWC, 율리스 나르당, 지라드 페레고, 파네라이, Breitling, TAG Heuer 같은 엔트리 모델 혹은 주력 모델들이
오메가와 롤렉스와 겹치게 되는 로우 하이엔드 브랜드들 및 다른 중상급 브랜드들인 듯합니다.
IWC는 Caliber 5000 패밀리로는 하이엔드를 지향하고, ETA 수정 무브먼트들로 롤렉스와 오메가와 같은 층의
소비자들에게 어필해야 합니다.
그러나, Portuguese Chronograph, Pilot 모델들은 이제 자사 무브먼트를 사용하는 오메가에 의해
소비자층을 잠식당할 위기에 놓인 것으로 보이며, 11 ~ 12 리뉴급의 보급형의 자사 무브먼트 개발없이는
점점 더 입지가 좁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편, 자사 자동 무브먼트 없이 ETA와 Lemania 수정에 의지하는 UN은 초고가의 복잡시계 개발로 얻은
프레스티지함을 엔트리모델에서 유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GP의 경우는 자사 무브먼트 Caliber 3000 패밀리를 가지고 있지만....
이번에 발표된 Omega 8501의 스펙은 GP Caliber 3000 번대에 비해 조금 두껍다는 것을 제외한다면
도리어 GP의 자사 무브먼트를 앞서는 것입니다.
최근 몇 년간 AP RO와 Rolex 사이의 고급 스포츠 시계를 지향하던 GP로서는 스포츠 시계 시장에서
고전할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Omega에서 Caliber 8500 과 Caliber 8501을 발표한 것은 Caliber 8500으로 Rolex, Breitling, TAG Heuer를
겨냥하고, Caliber 8501 로는 IWC, UN, GP, Zenith 등을 동시에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IWC, UN, GP 모두 Big 3, Breguet, Lange, AHCI 멤버들이 강력하게 포진하고 있는 울트라 하이엔드 시장을
주무대로 삼기는 벅차 보입니다....
반면, 무브먼트의 품질 보다는 시계 자체의 디자인적 포스로 성공을 거둔 파네라이는 오메가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파네라이의 미래는 대형시계 유행이 얼마나 더 유지될 것이냐는 것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이 트랜드가 향후 10 년 이상 유지된다면 파네라이는 30mm 대의 제품 컨셉 개발에 투자할 자금을 모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30mm 대로의 복귀가 이루어질 때 스몰 파네라이들이 어떤 평가를 받게 될 지는 알 수 없는 일입니다만....
ETA 무브먼트 시대에 Omega의 강력한 적수였던 Breitling과 TAG Heuer는 현재로선 엔트리 모델에 사용할
자동 무브먼트나 크로노그래프 무브먼트 개발에 대한 아무런 준비도 없어 보입니다.
Omega 자사 무브먼트 개발에 따라 TAG Heuer와 Breitling과 Omega 사이의 간격은 좀 더 벌어지게 될 것으로 보여서
도리어 Omega 보다 고가 시계 위주였던 Breitling으로선 COSC 를 넘어 자사 무브먼트 개발 없이는
자신의 시장을 지켜내기 여려운 상황에 빠질 것으로 보입니다.
TAG Heuer 로서는 ETA를 베이스로 하는 리테일가 200 ~ 300 만원대의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인지...
Swatch그룹의 압력에서 벗어나고, Rolex-Omega와 경쟁하기 위해 기본 무브먼트에 투자할 것인지 결정해야 할 것인데....
최근 TAG Heuer의 행보는 다소 무모해 보이는 도전보다는 Quartz 시계쪽에 비중을 두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기계식 시계의 소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현재와 같은 상태로 주춤거리면서
쿼츠 시계가 고급 시계시장에서 성공하게 된다면 TAG Heuer의 선택이 Omega의 무리한 투자 보다 좋은
선택이 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습니다...
하여튼....
이번 Omega의 자사 자동 무브먼트 개발은 Omega의 미래는 물론 그와 아래 위에서 비슷한 소비자층을 가진
모든 브랜드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사건으로 보입니다.
오메가 씨마스터 등 심플 자동 무브먼트 시계를 구입하려 한다면 조금 기다리는 것이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 29
-
Kairos
2007.01.26 01:02
아........ 오늘은 애욕전선에서의 전투 이후..... 좀 피곤해서 그냥 잘려고 했는데....................... 이런 완전 흥미진진한 글이 (계속)이라는 말을 달고 올라오면...... 차마 잘수가 없습니다........ 으아!!!!! 힘내세요 링고님!!!!!!!!!! -
하지만 같은 가격대에서 자사를 선택하는 매니아가 있는 반면에 브랜드 이미지를 택하는 매니아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오메가가 리즈너블 한 가격정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입지는 오히려 불투명 해 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매를 준비하는 매니아들중 분명 검증이 되지 않는 자사무브먼트를 섣불리 살수도 없는 노릇인 매니아도 있을 것이구요.......(어차피 F.P.Journe을 사는 사람의 경우에는 검증을 넘어선 어떤 유니크함이나 가치를 따지겠지만 오메가나 로렉스를 사는 사람들은 성능과 튼튼함을 주로 보겠지요) 가격이 어이없는 가격이라면 오히려 이가격이면 살수 있는 다양한 시계들이 있게 되는것이지요...오메가의 브랜드를 높혀놓지 않고서 지금의 미네르바처럼 갑자기 가격만 올린 자사를 사용한다고 해서 브랜드가 올라가는것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미네르바처럼 반감될 확률도 높지 않을까요??? 저는 오히려 굉장히 합리적인 가격으로 매니아들의 신뢰도를 쌓은 다음 롱파워리저브의 새로운 하이엔드 자사 무브먼트로 로렉스를 따라 잡았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앞으로의 오메가의 행보가 궁금해 지는군요. 우훗
-
bottomline
2007.01.26 02:36
근데 이 새로운 무브를 드빌에 넣었을까요............ 궁금.............. ^&^ -
Kairos
2007.01.26 08:09
이걸 믿고 Hayek이 그렇게도 롤렉스를 따라잡는다고 큰소리를 쳤던걸까요......... 어쨌든 재미있는 무브가 하나 더 나와서 흥미진진합니다. ^^;
하지만 한가지 집고넘어가고 싶은건............. 이런 자사무브가 어필하는 대상은 직접적인 판매량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시계 매니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솔직히 롤렉스를 구매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롤렉스가 "자사무브"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브랜드 이기 때문에라며 그걸 높이 사서 시계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아닐텐데....... 아무리 이 무브가 이제 자리를 잡고 오메가 시계 내에서 범용화가 된다해도....오메가가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더 인정을 받을 좋은 기회인지는 몰라도 전체적인 브랜드의 프레스티지 자체를 높일수 있는 사건이 될까요? 흠......... 흥미진진합니다. ^^; -
때똥
2007.01.26 09:31
링고님 분석을 읽고나니 10년 후의 시계시장이 더더욱 기대 됩니다.. ^^ 어떻게 변해 있으려나....
-
맥킨
2007.01.26 10:08
오메가의 이번 자사무브 발표로 중급브랜드들에겐 많은 시련이 시작될거 같습니다...
링고님의 말씀처럼 로렉을 넘어서진 못한다 하더라도 여타 브랜드들에 가해지는 중압감은 상당하겠는데요~~~~~~
앞으로의 중원 무림의 피바람이 예상됩니다~~~~~~~~~~~~~`ㅋㅋ -
음.. 중저가쪽은 이전의 코엑셜로도 충분하겠지만 어차피 에타가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면 - 같은 그룹이니 기우일수도 있지만
말씀하신대로 격을 높이기 위한 방도로 보입니다... 그리고 로렉스가 타겟이라는것은 어느정도 짐작이 되었던 일이구요..
하지만 드빌에 넣은것은 정말 의외입니다. 게다가 그정도의 가격이 책정된다면 좀.. ㅡㅡ
암튼 일단은 지켜봐야할거같습니다. 어차피 요즘 추세가 갈수록 피터지게 싸우는분위기라 구경하긴 좋습니다만.. ㅋㅋ -
칼을 쥔것은 스와치입니다. 그 스와치의 우산 속에서 오메가는 또 하나의 칼을 꺼낸것이고요. 스와치의 횡포에 대처하기 위해 바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비 스와치 진영의 오메가급과 그 이하의 브랜드들은 또 하나의 일격을 맞게 되는군요. ETA와 자사 무브먼트 두가지의 칼을 가진 오메가는 공급 감소된 ETA 무브먼트 모델의 가격 조절을 통해 자사 무브먼트 모델의 가격이 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게 만드는게 어렵지 않을것 같습니다. 비 스와치권이 어떤 대책을 들고 나올지 기대됩니다. (오호홋. 재미있어 지는구먼)
-
톡쏘는로맨스
2007.01.26 14:43
아직은 뭐 속단하기는 이른 것 같고, 좀 더 지켜봐야 안 되겠습니까? 자사 무브를 개발했다고 바로 로렉스를 뛰어넘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은데,
어쨌든 그래도 로렉이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ㅎㅎ -
토마
2007.01.26 17:38
흠 ... 아주 흥미롭습니당^^* -
두리번
2007.01.26 18:00
기존 드빌 코엑시얼 라인보다 1000불 정도 비싸진 것은 뭐..첫모델치고는 적절한 가격이라고 봅니다..그리고 현재는 드빌이 오메가의 하이엔드 모델인 것을 감안하면 2500 때처럼 드빌에 먼저 적용시킨 것 또한 당연하다 하겠지요..앞으로 시마스터에 적용한다고 보면 시마스터 가격은 400만원대로 로렉스 못지 않게 상승하겠지요..
그리고 더불어 브랜드 이미지 상승에 성공한다면 8500과 전혀 상관없는 캐쉬카우인 컨스틸레이션 쿼츠의 판매 또한 더욱 탄력을 받겠지요..원가상승 없이 공급가 상승도 가능할 것이구요..
시계업계의 공룡 스와치..그 중의 선봉장인 오메가의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해집니다..최종적인 과제는 점점 벌어지고 있는 브랜드 내 하이엔드급과 엔트리급의 격차를 최대한 좁혀서 그야말로 로렉스와의 쌍두마차 시대를 여는 것이겠지요..재미있습니다..^^ -
woo쯔
2007.01.26 22:39
가격책정이 다소 높게된것은 같군요. 위에 많은 분들이 얘기한것처럼 얼마나 많은 사람이 무브에 관심을 기울일지..
괜히 현재의 오메가 분위기에 넘 높게 측정한 가격때문에 낙동강 오리알은 되지 않을지..
비슷한 모양의 엔트리 모델이 많은 한 같은 브랜드내 하이엔드급을 지르기는 쉽지 않은 결정같네요.
브랜드 이미지를 올리는 작업이 그렇게 단기간에 될수 있을지.. -
지노
2007.01.27 00:11
실제로도 오메가를 로렉스 못사서 사는시계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사기도 하지만...그래서 안사기도 하죠)
그걸 극복하는 것이 오메가의 숙제이지만....사실 현실에선...그 브랜드 벨류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방법인거죠!!
극복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느냐...현재로 만족하고 안주하느냐....그것이 문제겠네요...
-
오메가의 팬으로서 가슴이 두근두근 거리네요. 신형 시마스터를 소장하고 있고 플레닛오션을 구입하려 생각중인데 저렴한 지금 사야할지 아니면 몇년을 기다려서 가격이 오르더라도 자사무브를 달고 나올 녀석을 사야할지 고민이 되네요
-
엘리뇨
2007.12.26 00:04
고민하실것 없이 다 구매하시는게 ㅎㅎㅎㅎ -
좋은글 감사합니다. 그리로 엘리뇨님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고민할것 없이 다사면 됩니다.^^
-
내돈오백원
2009.11.10 10:35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좋은글 감사합니다
-
별난그림자
2012.11.12 09:4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개떡이
2013.03.20 22:47
2500 하고는 하늘과 땅 차이겠죠.
-
squiall
2013.04.09 11:49
멋져요
-
안반
2014.03.17 01:20
잘 읽고 갑니다~~
-
잠자는평화
2014.03.23 20:16
8500 신의 한수가 될수도 있겠지만 오메가가 라이벌을 제칠 가능성은 ...글쎄요 -
nick1234
2014.05.29 09:29
어찌될지 진심 궁금합니다 ㅎ -
Gfresh
2014.07.01 22:25
유익한 내용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지암
2016.02.14 20:51
좋은 글 추천합니다..
-
글 작성하신지.. 10년이 되어가고 있네요..
지금의 오메가는 세상에 어떤 브랜드가
되었을까요?
-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2500이 현역으로 뛰고 있네요.